요즘은 예전과 달리 저축만으로는 경제적 독립 혹은 내집마련이 힘든 시기입니다. 그렇기에 사람들이 이런저런 투자처를 찾고있습니다. 다만 부동산은 초기 자본금이 많이들며 채권같은 경우는 확실히 알지 못하면 접근조차 힘듭니다. 그렇기에 가장 접근이 쉽고 초기자본금이 적어도 할수 있는 주식에 돈이 모이고 있습니다. 그럼 오늘은 가볍게 주식이 무엇인지 주식으로 얻을수 있는 이득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이란 무엇일까요?
사전상으로는 "기본적으로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이며, 사원인 주주가 주식회사에 출자한 일정한 지분 또는 이를 나타내는 증권을 말한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위의 말은 너무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간단히 한문장으로 줄인다면 "주식은 회사의 권리를 사고팔수 있게 나뉘어 놓은 권리입니다. " 간단히 100만원 짜리 회사를 100개로 쪼개 개인이나 회사에게 팔수있게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그럼 왜 회사는 주식을 발행하고 개인은 사고 팔까요?
주식의 발행이유
어떤 회사든 다른 돈 없이 회사의 수익만으로 사업을 벌이고 싶겠지만, 제대로 된 회사를 만들고 경영하는 데에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돈이 필요합니다. 때문에 극소수의 예외를 제외하면 내부자금만으로 회사를 굴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기업은 은행을 통해 외부 자금으로부터 돈을 끌어오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대표적으로는 타인자본을 늘리는 방법으로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방법과 채권을 발행해 돈을 빌리는 방법이 있고, 주식을 발행해 자기자본을 늘리는 3가지 방법이 습니다. 하지만 주식은 회사입장에서 은행에서 빌리는 것과 달리 개인은 회사의 권리를 사고 들어오는 경우이기에 자본금을 갚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회사의 의사결정에서의 어느정도를 주주에게 양보를 해야하지만요.
개인이 주식을 사고 파는 이유
주주는 회사의 의사결정권한을 사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회장이 되고싶다거나 아니면 회사의 좌지우지 하기위해 사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대부분 90% 이상은 주식의로 수익을 내기위해 사는것입니다. 그럼 주식은 다른 투자와 다른 장점이 무이 있을까요?
1. 아주 적은 소액으로도 시작할수있다,
주식은 적게는 1주당 몇백원 부터 많게는 백만원단위까지 다양하게 분포합니다. 그렇기에 한번에 몇 억 짜리 건물을 사서 투자하는 부동산이나 채권에 비해 적은 초기자본금으로도 시작할수 있습니다.
2. 수익성이 좋다.
부동산이 200%의 수익을 보기위해서는 적게는 3년에서 많게는 10년이상이 걸릴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은 적게는 한달 심하면 3일만에 200%의 수익을 낼수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주식들은 변동성 및 위험도가 높기에 투자하기전 주의해서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럼 단점은 무었이 있을까요?
1. 초기자본금을 완전히 잃을 위험이있다.
주식은 부동산이나처럼 현물 자산에 투자하는것이 아닌 기업자체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기업이 도산하거나 파산하게되면 주식의 권리가 영영 사라지는 것입니다. 부동산은 가치가 낮아지더라도 건물이나 토지는 남지만, 주식은 말그대로 권리가 영영 사라지기에 속된말로 휴지조각이 될가능 성이있습니다. 그렇기에 투자하기전 확실한 조사와 주의가 필요합니다.
2. 변동성이 높다
이것은 장점이자 단점입니다. 잘하면 200프로의 수익을 단하루만에 얻을수 있지만 잘못하면 한시간만에 - 90%라는 참담한 결과를 얻을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투자전 확실한 조사는 필수입니다.
마치며
오늘은 주식이 무엇인지를 가볍게 알아보았습니다. 요즘 투자는 필요가 아니라 필수라는 말이 돌고 있습니다. 저축만으로 내집마련은 멀고 먼 미래가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경제가 무엇인지 투자가 무엇인지 한걸음 한걸음씩 배워보겠습니다. 오늘은 주식이 무엇이지 알아보았고 다음에는 배당금이란 무엇이지 알아보겠습니다. 앝고 가벼운 상식이야기 chogy 였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핫한주식 이야기? 하락장에서 살아남는 물타기! (2) | 2022.08.24 |
---|---|
핫한 주식이야기? 이유없는 급등주? 밈주식이란 (3) | 2022.08.22 |
핫한 주식이야기? 주식대신에 ETF? ETF란? (0) | 2022.08.19 |
핫한 주식이야기? 주식에도 세금이? (0) | 2022.08.15 |
구시대적 유물? 야드 파운드 법이란? (0) | 2022.08.08 |
댓글